Stay on this page and when the timer ends, click 'Continue' to proceed.

Continue in 17 seconds

기업부채, 부동산에 쏠렸다..."GDP의 24% 달해" By 시티타임스 CityTimes

기업부채, 부동산에 쏠렸다..."GDP의 24% 달해" By 시티타임스 CityTimes

Source: Investing.com 한국어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가지 모습.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우리나라의 부동산 부문 기업대출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4분의 1 규모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20일 펴낸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 BOK이슈노트 보고서에는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소속 류창훈·최신 과장과 권규빈 조사역이 작성한 이 같은 내용의 분석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2734조 원으로 2018년 이후 1036조 원 급증했다. 명목 성장률(3.4%)을 웃도는 연평균 8.3% 증가를 지속한 셈이다.

명목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도 2017년 말 92.5%에서 지난해 말 122.3%로 무려 29.8%포인트(p) 치솟았다.

이처럼 기업부채가 2010년대 중반부터 상당 폭 늘어난 배경으로는 '부동산 경기 활황'과 '코로나19 충격'이 지목됐다.

특히 보고서는 "국내 부동산 관련 부채 증가는 주요국에 비해서도 두드러졌다"고 강조했다.

2010년대 중반만 해도 주요국과 비슷했던 우리나라의 부동산 부문 기업부채 비율은 2022년 말 유로 지역(14.7%), 호주(12.0%), 미국(11.3%), 영국(8.7%) 등을 크게 웃도는 24.0%까지 높아졌다. 레버리지 비율이 영국의 2.8배, 미국의 2.1배, 호주의 2배, 유로 지역의 1.6배에 달한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한 개인사업자 등에 대한 금융지원 조치도 기업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며 다만 "향후 지원 조치가 점차 정상화되며 관련 부채 조정이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2017~2019년 개인사업자대출은 해마다 24조 원(연평균 증가율 10%) 늘었으며 이후 코로나19 피해 기업에 대한 보증 지원과 상환 유예 등에 따라 2020~2022년 연간 54조 원(증가율 15%)으로 증가세가 확대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류창훈 과장은 "일반 기업(부동산‧개인사업자 제외)의 경우 이익잉여금 적립, 유상증자·기업공개 등을 통한 자본 확충이 동반돼 주요 재무 비율이 주요국보다 낮은 등 건전성 측면에서 대체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개인사업자 부채는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취약계층 지원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증가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반면 "생산성 높지 않은 부동산 부문 기업부채가 크게 확대된 것은 국가 경제 전체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부실 우려가 높은 PF 대출 등에 대한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통해 부동산 부문 부채의 점진적인 디레버리징을 유도하는 정책 기조를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결과적으로 보고서는 "향후 기업부채는 총량 지표 등을 통해 경직적으로 관리하기보다 부문별 리스크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며 "기업신용이 전체 국가 경제 관점에서 생산적인 부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